· HOME · LOGIN
 
 
review    
 
 
색점 따라 흐르는꽃의 향기에 취하다

밝고 깊다. 발랄한 리듬이 귓가에 맴돌고 화사한 선율을 따라 색점들이 춤을 춘다.
멀리 어디선가 본 듯한 산허리를 따라 꽃 구림이 흘러간다.
서서히 들려오는 아름다운 하모니는 가볍게 마음을 공중에 띄운다.
중견작가 문명호의 근작 소감이다. 그의 작업은 매우 꼼꼼하고 성실하여
꽉 찬 이야기를 담아내곤 했다. 꽃과 풍경이 어우러진 현장의 분위기를 담아왔다.
항상 충만한 자연의 축복이 계절감과 함께 묻어났다. 그가 5년 만에 마련한 이번
개인전은 한층 깊어지고 좁혀져 사유의 시간과 공간에 대한 자기 고백을 강조한 듯하다.
첫 인상부터 동양화의 인상을 지우기 어렵다. 생각하고 사유하는
시공의 흐름을 화면에 잡아냈기 때문이다. 지난 30여년의 외길 화필인생을
다져온 작가로서 시각의 변화를 감지한 셈이다. 꽃이 피어나고 바람이
불고 계절이 바뀌는 순간순간의 느낌을 정제하고 다듬어 속으로 부르는 찬가가 아닌가 싶다.
우선 그의 이번 근작들은 원근의 시각적 변화를 감각적으로 풀어내려한다.
면과 면에 대한 경계를 허무는 중첩과 반복, 색 번짐의 효과를 모든
세상의 이야기로 풀어내는 관조의 시선으로 다가 선 것이다.
이번 작품들에서도 주요 소재는 자연이다. 특히 꽃과 풍경, 산들을 포인트로 삼았다.
사실 문명호의 꽃그림은 그가 청년기에서부터 집중해온 작업의 하나이다.
단순히 아름다운 꽃을 사생하는 작업이 아닌 꽃의 아름다움을 뽑아내는
개성 넘치는 작업으로 주목받아왔다.
근작의 꽃은 표현의 대상이면서 작가가 세상과 소통하는 메신저로써의
상징으로 격상되어 있다. 장미와 수련, 카라, 꽃무릇, 자목련, 나팔꽃, 매화, 양귀비 등
칼라가 뚜렷하고 강렬한 꽃들을 대상으로 화면 가득 부각시켜 그것이 지닌 느낌과
이미지를 극대화한다.
특히 부드러운 터치와 칼라를 강조하여 꽃의 화려함을 담아내면서 경직되지 않는
아주 부드럽고 섬세한 터치감의 절정을 연출한다. 화면에 자연스럽게 풀어지는
색채의 향연처럼 순간적 느낌을 자아내는데 작가는 매우 신경 쓴 흔적을 엿보게 한다.
화면의 자연스러움 이면에 작가의 고도의 계획적 작업의지가 스며든 것이다.
남도의 자연풍경과 어우러진 배경에서도 꽃은 화면을 이끌어 가는 중심에 있다.
섬진강 매화는 그 중 압권이다. 매화는 문인화의 사군자로 꼽히는 꽃으로 알려져 있다.
문명호의 근작 매화는 동양화의 그것처럼 사유적 시공의 연출로 눈길을 사로잡기에 충분하다.
화면 중심에 고목의 매화 한 그루가 서 있고 좌우로 휘어 뻗는 가지마다에 하얀
매화가 흐드러져 있다. 고목과 꽃의 흑백 효과는 화면 상 긴장감을 높여주고 멀리
배경 속의 원경은 거무스레한 이미지로 처리해 근경의 부각 효과를 강조한다.
특히 화면 하단의 여백은 좌측 하단 먼 곳 작은 돛배 두 척으로 하여 비워진 공간이
비로서 강변, 즉 섬진강 줄기임을 말해준다. 쓱쓱 지나간 먹선의 속도감을 보듯
정적 공간에 순간적 동적 감흥을 살려준다.
또 다른 매화 역시 활짝 핀 매화의 눈웃음 이면에 인고의 세월을 이겨 고목으로
굳어진 나무의 연륜이 작가의 화업 외길 인생과 겹쳐져 클로우즈업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대부분 나이프 작업의 능숙한 손놀림에서 빚어졌다.
대나무도 있다. 바람에 휘날리는 대숲의 사각거림이 들리는 이 작품은 화면 좌측에 숲의
이야기가 느낌의 주머니를 바람결에 날리는 아주 서정적인 작품이다.
절제하고 축약한 화면 구성이 돋보인다.
반면 자목련과 장미, 맨드라미, 수련 등은 50~100호 이상의 비교적
대작에 가까운 화면에 꽃 한 송이를 담았다. 가까이 보면 마치 추상과 구상의
파노라마를 보는 듯 장중한 맛도 우러난다. 하지만 이 작품들에서 꽃의 형상을
부각함으로써 다양한 기법과 상징적 이미지를 통해 그림이 격조를 다시
꼼꼼히 들여다보게 된다. 무엇보다 꽃을 통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작가의 메시지를 집중시킨
색점의 존재를 재확인할 수 있다.
풍경의 대상은 주로 산이다. 무등산과 월출산이다. 멀리 화면 한 가운데 무등산의
형세가 자리하고 상하좌우에 그것을 감싸는 꽃물결과 꽃구름 꽃밭이 어우러진다.
월출산 역시 기기묘묘한 바위산의 기세를 나이프의 날렵한 좌우 덧칠로 색면을
구성하여 작업해온 것에서 이제는 근작에서 보여주듯 꽃으로 품어낸
영롱한 산기운을 형상화했다.
근작의 특징을 한마디로 꼽자면 화면상에 우러난 느낌의 흐름이다.
흐름이란 정체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공간과 시간을 달리하는 움직임이다.
꽃과 산, 풍경을 담아낸 그림에 공간적, 시간적 변화를 시도하는
흐름을 담는 것은 바로 살아있음, 즉 생명의 공간을 만들어 가는 것을 말한다.
작가는 이런 생명의 상징으로서 화면에 \\\\\\\\\\\\\\\'색점을 넣었다. 그의 이번 출품작을
가만히 보면 무수한 색점들이 화면에 가득 흐르고 있음을 본다. 밤하늘의 은하수처럼,
들판의 민들레 홀씨처럼 색점들이 떠 있다.
이것은 곧 꽃의 빛깔이자 향기이다. 빛의 피어오름이기도 하고 몽유적,
환상적 이미지의 환희이기도 하다. 화면 전체의 감을 주도하는 운율적 포인트로서 작용한다.
이 원점들은 정적인 화면에 동적 이미지를 강조하는 동시에 향기와 스토리를 연상하게 한다.
작가는 색점을 통해 꽃과 바람, 빛이 흐르는 느낌을 전달함으로써 생명을 표현하고자했다
면서 시도하지 않는 운율적 리듬감으로 결국 느낌 찾기에 근작들의 작업 방향을 모았다고
말한다.
화려하고 부드럽고 온유한 느낌이 강조된 문명호의 근작은 그러나 반복되고 중첩된
색채적 질감 효과를 내기 위해 숱한 시간과의 싸움을 벌인 결과이다. 이번꽃의 향기
시리즈가 그의 창작여정 흐름을 이끄는 동력이 되길 기대한다.
(아뜨리에) 광주광역시 서구 풍암동 1159-10 1F
전화 : 062)227-5825    H·P : 010-4603-5825    E-mail : moonart5825@hanmail.net